퇴사를 꿈꾸는 당신을 위한 책 [나는 회사 다니면서 창업하기로 했다_아라이 하지메/김윤경]
나는 회사 다니면서 창업하기로 했다_아라이 하지메/김윤경
회사다니면서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은 몇이나 될까?
그 누구나 사직서를 마음에 품고있지만
나가기 위한 준비는 미흡하다.
월급떄문에 간절하지 못해서라는 말을 하지 말자.
간절함은 오로지 나에게 달렸고 이번에 읽은 책과 같은 실행 한 사람들을 따라
나도 회사다니면서 창업 추월차선을 타면 된다.
지식 컨텐츠를 팔아 수익을 얻는 유튜브가 많아지고 있다.
결국엔 유튜브로 사람을 모으고 그 후에 어떻게 수익화 할지는 강사 그 자체에 달렸다. 세상은 Teacher와 Student로 나뉘는거 같다. 우린 어른이 되어서도 어렸을 때 학원다니고 과외 받던 습관을 버리지 못했다. 어쩌면 그 생태계를 부정하고 안타까워 할 것이 아니라 제대로 이용하는 사람들이 부를 추척 하고 있는 것일지도.
지식 제공 사업(노하우 제공형)이란 자신만의 경험을 전달하고 알려주는 사업 모델이다.
장소나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 공간 기회 제공형)은 테마를 정해 참가자를 모집하고 조건에 맞춰 참가자들을 연결하거나 이벤트를 개최하는 사업 모델이다.
남에게 본인의 경험을 전달하려는 사람은 반드시 초일류여야만 할까?
나의 경험을 정리하는 일이 그렇게 어렵지 않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무언가를 배우는 과정은 단숨에 이루어지지 않고 단계적으로 학습된다.
다시 말해서 그렇게 단계적으로 배운 내용을 본인이 배웠던 과정 그대로 커리큘럼처럼 만들면 된다.
본인의 경험을 누군가에게 가르치기 위해서 커리큘럼을 만들 때는 배운 내용을 100단계로 나누는 방법을 추천한다.
100단계로 나눈 뒤에는 블로그 등의 공간을 통해 1~20 단계까지만 무료로 공개하고 초급편은 21~40 단계, 중급편은 상급편은 프로편은
그 위로는 강사 양성 프로그램
누구나 할 수 있는 온라인 셀러
하지만 누구나 팔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기 까지
쿠팡으로 해먹을 팔아봤다. 코스트코에서 물건을 배송해주는 방식이었는데, 마진률이 1-2%였고 경험으로서 나쁘지 않은 시도 였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세상은 정말 경쟁 그 자체였다. 누구나 팔 수 있는 물건들을 팔리게 하기 위해서는 나의 수익을 따져서는 안되었다. 세상은 정글이 맞았다. 고객의 고민의 해결 해주는 것을 직업으로서 온전히 열심히 해도 모자랄 판에 부업으로 온라인셀러를 한다? 이건 정말 대단한 일인거 같다. 블로그 수익 쿠팡 파트너스 이런 것들을 귀엽게 몇 만원을 벌어보았지만 잡다하게 올린 스마트 스토어엔 그 누구도 들어오지 않고 있다.
고객의 고민을 해결한다는 개념을 항상 염두에 두고 사업계획을 세우면 고객 쪽에서 흥미를 보이며 다가오게 된다.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체적 내용을 결정한다.
상품명을 정한다.
가격을 설정한다.
주력상품은 사업자의 입장에서 고객이 가장 이용했으면 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말한다.
나는 아이템보다 경험과 서비스를 팔아야 하는 사람인가? 란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면 > 나의 아이템과 서비스는 누가 사줄까?
7년차 서비스구매 바이어가 알려주는 기업에서 선택하는 서비스 그리고 상품
대기업 그리고 중견기업 이상의 회사들로부터 안정적인 계약을 따내고 싶은 모든 사장님들에게 추천하는 강의
'유인 상품'은 주력 상품의 가치를 알리기 위한 일종의 '체험 상품'을 말한다. 미래의 예상 고객에서 사업자 본인 혹은 상품의 장점을 알리려는 목적에서 만드는 상품이라고도 볼 수 있다.
상품명을 짓는 3가지 방법
- 우선 이름에서 어떤 상품인지 쉽게 전달이 되어야 하고
- 둘쨰, 고객의 고민이 해결될 법한 이미지가 그려져야 하고
- 기억하기 쉬워야 한다.
가격을 정하는 단계
- 가격이란 '팔기 쉬운 금액'을 의미하는 단어가 아니다.
가격을 정하는 단계에서는 '제공하는 상품의 가치에 합당한 대가'를 정해야 한다.
세부 사항 정하기
상품을 정하고 이름과 가격을 결정했으면 이제 상세한 상품 정보를 글로 적어 볼 차례다.
이떄는 몇몇 경쟁 업체의 홈페이지나 홍보 문구를 참고하면서 필요한 정보가 빠짐없이 들어가도록 작성하면 좋다.
장소나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공간 기회 제공형)이라면 구체적인 장소 선정부터 기회를 제공하는 방법을 담아야 하고 물건을 제공하는 사업(제품 제공형)은 상품의 구체적인 사양이나 사진, 사용 설명서를 준비해야 한다.
최강의 아군, 충성 고객 만들기
지속형 수익 상품 개발이라는 말이 너무 어렵게 느껴지는 사람은 충성 고객이 되어줄 나만의 팬을 만든다는 개념으로 접근해보자.
생각을 현실로
물건을 팔기가 어렵기 때문에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사람이 되고 싶었다.
그래서 사람들을 모아 나의 스타트업 도전기와 정부지원사업에 대한 경험을 이야기 하면 어떨까 생각했다.
유인상품
한강뷰 오피스텔에서 비즈니스 이야기 하기
주력상품
- 한강뷰 오피스텔에서 나만의 비즈니스 시작하기
총 4회 (24만원) (12월 부터는 36만원 --> 30% sale)
(나의 삶을 바꿀 2시간 그룹 코칭)
화 목 (총 8명 / 한달)
요일 별 4명 정원
(7:30~9:30)
총 8분의 CREW 만 모집합니다.
유튜브를 열심히 보고 책을 열심히 읽었지만 삶이 달라지지 않은 분들
당장 부업과 사업을 시작 해보고 싶지만 시작이 안되는 분들
강의 그만 듣고 실행이 절실한 분들
더 이상 시간낭비 돈낭비 하지 말고 바로 시작을 함께 하는 곳
한달 프로젝트,
생각을 현실로 부업을 실행하는 시간
실행 코칭을 통해 부업 바로 시작하기
몰라서 못 하는 것이 아니다.
실전 동기부여 그리고 실행 코칭이 필요한 당신에게 꼭 필요한 장소
8년차 서비스구매 바이어가 알려주는 선택 받는 사업 제안서 그리고 가격 선정방법
책을 읽으면서 이렇게 늘 꿈꾼다.
끊임없이 생각하고 적는다.
적은 것들을 또 실행에 옮긴다.
생각을 현실로
글 시 책